六曹大師法寶壇經 贊
宋 明敎大師 契 嵩 撰
贊者는 告也니 發經而溥告也라 壇經者는 至人之所以宣其心也니 何心耶아 佛所傳之妙心也라
大哉라 心乎여 資始變化而淸淨常若하야 凡然聖然하며 幽然顯然하야 無所處而不自得之하나니 聖言乎明이오 凡言乎昧니 昧也者는 變也요 明也者는 復也니 變復이 雖殊나 而妙心은 一也라 始에 釋迦文佛이 以是而傳之大龜氏하시고 大龜氏가 相傳之三十三世者하야 傳諸大鑑하시고 大鑑이 傳之而益傳也하시니 說之者가 抑亦多端이나 固有名同而實異者也요 固有義多而心一者也라 曰血肉心者와 曰緣慮心者와 曰集起心者와 曰堅實心者는 若心所之心이 益多也니 是所謂名同而實異者也오 曰眞如心者와 曰生滅心者와 曰煩惱心者와 曰菩提心者는 諸修多羅에 其類此者가 殆不可勝數니 是所謂義多而心一者也라
義有覺義하고 有不覺義하며 心有眞心하고 有妄心하니 皆所以別其正心也라
方壇經之所謂心者는 亦義之覺義며 心之實心也니 昔者聖人之將隱也에 乃命乎龜氏하사 敎外以傳法之要하시니 意其人이 滯迹而忘返일새 固欲後世者로 提本而正末也라 故로 涅槃에 曰我有無上正法을 悉已付囑摩訶迦葉矣라하시니라
찬은 고한다는 것으로 경을 펴서 널리 알린다는 것이다. 단경이란 지극한 어른(육조)께서 마음을 펴신 것인데 어떤 마음인가 하면 부처님께서 전하신 묘한 마음이다.
크도다, 마음이여, 창조하고 변화하지만 청정하여 항상 같으니, 범부도 그러하고 성인도 그러하여 어둠에도 그러하고 밝음에도 그러하여 어디에 있으나 얻지 못함이 없느니라.
성인은 밝다 하고 범부는 어둡다 말하며 어두운 것은 변하고 밝은 것은 회복이니 변하고 회복함은 비록 다르지만 묘한 마음은 하나이다.
처음에 석가모니 부처님이 이것을 가섭존자인 대구씨에게 전하시고 대구씨가 전하여 33대까지 하여 육조대사에게 전해졌으며 육조대사께서 다시 전하시니 설법을 한 이가 매우 많을 것이다. 이름은 같으나 내용은 다른 것이 있고 그 뜻이 많지만 마음은 하나인 것이다.
오관 신경과 같은 혈육심과 생각하는 연여심과 집기심(잠재의식)과 생각의 주체이며 진아인 견실심은 다 마음에서 일어난 일체의 객관인 심소의 마음이 더욱 많은 것 같으니, 이것은 다 이름은 같지만 실상은 다른 것이며, 진여 심, 생멸 심, 번뇌 심, 보리 심등이 경에 수없이 많이 나오는데 이것은 이른바 겉 뜻이 많지만 마음은 하나인 것이다.
뜻은 깨달은 뜻이 있고, 깨닫지 못한 뜻이 있으며, 마음에 참 마음이 있고 망령된 마음이 있으나 다 바른 마음을 분별한 것이다.
단경에서 말하는 마음은 그 뜻이 깨달은 뜻이며 견실한 마음이다.
옛 성인께서 장차 숨으심에 가섭에게 명하시어 교 밖에 따로 법의 요긴함을 전하신 것은 사람들이 혹시 현상계의 자취에 걸리어 본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을 잊을까하여 후세 사람으로 하여금 근본을 이끌어 지엽말단을 바로 잡게 하려 하신 것이었다.
그러므로 열반경에 <나에게 위없는 정법이 있는데 마하가섭에게 이미 부촉했노라.>하신 것이다.
天之道은 存乎易하고 地之道는 存乎簡하고 聖人之道는 存乎要니 要也者는 至妙之謂也라
聖人之道가 以要則爲法界之樞機며 爲無量義之所會며 爲大乘之椎輪이니 法華에 豈不曰當知是妙法은 諸佛之秘要며 華嚴에 豈不曰以少方便으로 疾得菩提아 要乎여 其於聖人之道에 利而大矣哉니 是故로 壇經之宗은 尊其心要也라
心乎여 若明若冥하며 若空若靈하며 若寂若惺이니 有物乎아 無物乎가 謂之一物인댄 固彌於萬物이오 謂之萬物인댄 固統於一物이니 一物이 猶萬物也요 萬物이 猶一物也라
此謂可思議也여니와 及其不可思也하며 不可議也하야는 天下가 謂之玄解며 謂之神會며 謂之絶待며 謂之黙體며 謂之冥通一이니 皆離之遺之하야 遺之又遺이니 亦烏能至之微리오
하늘의 도는 바뀌는데 있고 땅의 도는 간결한데 있고 성인의 도는 요긴한데 있으니 요긴이라 함은 지극히 묘함을 일컫는다.
성인의 도가 요긴하며 법계의 추기가 되고 무량한 이치의 모임이 되며 대승의 시작이 되므로 법화경에 <마땅히 알라 이 묘법은 제불의 비밀한 요지이니라.> 하셨으며, 화엄경에 <작은 방편으로써 속히 보리를 얻는다.> 하시지 않았겠느냐? 요긴함이여! 성인의 도에 이롭고 크도다. 그러므로 단경의 종지는 그 마음의 요긴함을 높인 것이니라.
마음이여! 밝은 것 같고 어두운 것 같으며 빈 것 같고 신령한 것 같으며 고요한 것 같고 깨어 있는 것 같으니 어떤 물건이 있는 것이냐? 없는 것이냐? 한 물건이라면 진실로 만물에 가득하고 만물이라면 한 물건에 통일될 것이니, 한 물건이 만물과 같고 만물이 한 물건과 같은지라. 이는 가히 생각하고 의논한다 하겠지만 생각할 수 없고 의논할 수 없는 것이다. 천하를 깊히 안 것이며 신기롭게 안 것이며, 상대가 끊어진 것이며 잠잠히 체득했다하며 가만히 하나에 통했다 하니 다 여의고 보내며, 보내고 또 보냄이니 어찌 미묘한 것뿐이겠느냐?
其果然獨得與인지 夫至人之相似者는 孰能諒乎아 推而廣之則無往不可也요 探而裁之則無所不當也요
施於證性則所見이 至親이오 施於修心則所詣 至正이오 施於崇德辯惑則眞妄이 易顯이오 施於出世則佛道가 速成이오
施於救世則塵勞가 易歇이나 此는 壇經之宗이 所以旁行天下而不厭이라
彼謂卽心卽佛이 淺者는 何其不知量也오 以折錐探地而淺地며 以屋漏窺天而小天이니 豈天地之然耶아 然이나 百家者는 雖苟勝之나 弗如也요 而至人은 通而貫之하야 合乎群經을 斷可見矣로다
至人이 變而通之에 非預名字면 不可測也니 故로 其顯說之에 有倫有義하며 密說之에 無首無尾하야 天機利者 得其深하고 天機鈍者는 得其淺이니 可擬乎아 可議乎아 不得己況之則圓頓敎也며 最上乘也며 如來之淸淨禪也며 菩薩藏之正宗也이 論者가 謂之玄學이 不亦詳乎며 天下가 謂之宗門이 不亦宜乎아 壇經에 曰定慧爲本者는 趣道之始也니 定也者는 靜也오 慧也者는 明也니 明以觀之하고 靜以安之하나니 安其心에 可以體心也요 觀其道에 可以語道也니라
과연 홀로 얻음이로다. 무릇 육조의 서로 같은 경계를 누가 능히 헤아리랴?
넓게 미루어 보면 가는데 마다 옳지 않음이 없고 탐구하여 헤아려보면 마땅하지 않은 바가 없으며 성품을 증득하는데 쓰면 보는 바가 지극히 친하고 마음을 닦는데 쓰면 나아감이 지극히 바르고 덕을 높이고 미혹함을 가리는데 쓰면 참과 거짓이 잘 나타나고 세상을 뛰어나는데 쓰면 불도를 빨리 이루고 세간을 구하는데 쓰면 번뇌가 쉽게 사라지리라.
이것이 단경의 종지가 천하에 유행하되 싫어하지 않음이로다. 마음이 곧 부처라고 하신 말씀을 소견이 얕은 사람이 어떻게 그 뜻을 헤아려 알 수 있겠느냐? 부러진 송곳으로 땅속을 찔러보고 땅을 얇게 여기는 것과 새는 지붕 틈으로 하늘을 엿보아 하늘을 작게 여김과 같은데 어찌 하늘과 땅이 그러한 것이겠느냐?
그러나 많은 학자들이 비록 뛰어났지만 이 이치를 알지 못하는데 지극한 이는 통달하고 꿰어 뚫어서 단경의 종지가 뭇 경에 합해 있음을 결단코 보는도다. 지극한 이가 변하고 통합에는 이름과 글자로 통하는 것이 아니지만 드러내어 설하심에는 차례가 있고 이치가 있으며 은밀히 설하실 적에 가히 측량하지 못하여 머리도 없고 꼬리도 없어서 타고난 근기가 날카로운 자는 그 깊음을 얻고, 타고난 근기가 둔한 자는 얕은 이치를 얻는 것이니 가히 헤아릴 수 있겠으며 의논할 수 있겠느냐?
부득이 비유하면 원돈교며 최상승이며 여래의 청정선이며 보살장의 바른 종지다.
논하는 자들이 현학이라 하는 것은 자세하지 않으니 천하가 다 종문이라 하는 것이 역시 마땅하지 않겠느냐? 단경에 말씀하시기를 <정과 혜로 근본을 삼는다.>는 것은 도에 나아가는 처음을 가르치는 것이고, 정이란 고요함이요, 혜는 밝음이니, 밝음으로써 관하고 고요함으로써 편안케 하는 것이니 그 마음을 편안히 하므로 가히 마음을 체득하고 도를 관하므로 가히 도를 말하느니라.
一行三昧者는 法界一相之謂也니 謂萬善이 雖殊나 皆正於一行者也라 無相爲體者는 尊大戒也요 無念爲宗者는 尊大定也요 無住爲本者는 尊大慧也니 夫戒定慧者는 三乘之達道也요 夫妙心者는 戒定慧之大資也니 以一妙心而乎統乎三法일새 故로 曰大也니 無相戒者는 戒基必正覺也라 四弘願者는 願度度苦也며 願斷斷集也며 願學學道也며 願成成寂滅也니 滅無所滅故로 無所不斷也요 道無所道故 無所不度也라 無相懺者는 懺非所懺也라 三歸戒者는 歸其一也니 一也者는 三寶之所以出也라 說摩訶般若者는 謂其心之至中也니 般若也者는 聖人之方便也요 成人之大智也라 固能寂之明之하고 權之實之니 天下가 以其寂이면 可以泯衆惡也면 天下가 以其明이면 可以集衆善也며 天下가 以其權이면 可以大有爲也며 天下가 以其實하면 可而大無爲也니 至矣哉다
일행삼매란 법계가 한 모습임을 말하느니라. 만 가지 선이 비록 다 다르지만 한 행위에 모두 바르게 됨을 말한다. 무상으로 체를 삼는다 함은 큰 계를 높이는 말이고, 무념으로 종을 삼는다 함은 큰 정을 높임이며, 무주로 근본을 삼는다 함은 큰 지혜를 높인 것이다. 무릇 계 · 정 · 혜는 삼승을 통달하는 도며 무릇 묘한 마음은 계 · 정 · 혜의 큰 밑천이다. 하나의 묘한 마음으로 세가지법을 통합하는 것이므로 크다고 한 것이다.
무상계는 반드시 바르게 깨닫는 것을 뜻하고 사홍서원이란 괴로움을 제도하는 것을 제도하기 원하는 것이고, 번뇌를 끊는 것을 끊기 원하는 것이며 도 배우는 것을 배우기 원하는 것이고. 적멸을 이루기를 이루기 원하는 것이니 멸하되 멸하는 바가 없으므로 끊지 못하는 바가 없고 도이지만 도라 할 것이 없으므로 제도하지 못하는 바가 없는 것이다.
무상참회라 함은 참회하지만 참회가 아니며 삼귀계라 함은 하나에 돌아가는 것이며 하나는 삼보를 내는 것이니라. 마하 반야를 설한다 함은 마음의 지극한 중도를 일컬음이니 반야는 성인의 방편이고 성인의 큰 지혜니라. 매우 고요하고 밝으며 권도이고 실다움이니 천하가 고요하면 그 고요함으로 뭇 악을 없애고 천하가 밝으면 밝음으로 가히 뭇 선을 모으며 천하가 권하면 그 권으로써 크게 위함이 있으며 천하가 실다우면 그 실다움으로써 가히 크게 위함이 없느니라.
般若也여 聖人之道가 非夫般若면 不明也며 不成也요 天下之務가 非夫般若면 不宜也며 不當也니 至人之爲는 以般若振이 不亦遠乎아 我法은 爲上上根人說者는 宜之也니 輕物重用則不勝이오 大方小授則過也라
從來黙傳分付者는 密說之謂也니 密也者는 非不言而闇證也요 眞而密之也라 不解此法而輒謗毁하면 謂百劫千生에 斷佛種性者는 防天下亡其心也라 偉乎라 壇經之作也여 其本이 正하고 其迹이 效하며 其因이 眞하고 其果가 不謬니 前聖也後聖也가 如此起之하고 如此示之하고 如此復之니 浩然沛乎여 若大川之注也며 若虛空之通也며 若日月之明也며 若形影之無碍也며 若鴻漸之有序也라 妙而得之之謂本이오
推而用之之謂迹이며 以其非始者로 始之之謂因이오 以其非成者로 成之之謂果니 果不異乎因을 謂之正果也요 因不異乎果를 謂之正因也며 迹必顧乎本을 謂之大用也요 本必顧乎迹을 謂之大乘也니 乘也者는 聖人之喩道也요 用也者는 聖人之起敎也라
지극하도다. 반야여 성인의 도가 반야가 아니면 밝지 못하며 이루지 못하는 도다. 천하의 힘씀이여 무릇 반야가 아니면 마땅하지 못하며 온당하지 못하리니 지극한 이의 하는 바는 반야로써 떨침이 심원하지 않겠는가?
나의 법은 상상 근의 사람을 위하여 설한 것이다 하신 것은 마땅한 말씀이니 가벼운 물건을 무겁게 쓰면 이겨내지 못하고 큰 도를 작은이에게 주면 깨뜨리느니라. 종래의 묵묵히 전하여 분부한다 하신 것은 은밀히 설함을 가리키는 말씀인데 은밀하다는 것은 말없이 가만히 증득하는 것이 아니라 참답게 은밀함을 뜻한다. 이 법을 알지 못하고 비방하고 헐뜯으면 백 겁 천생에 부처의 종자인 성품을 끊는다 하신 것은 천하가 그 마음을 잃을까 막으신 것이리라.
위대하시다. 단경을 지으심이여 그 근본이 바르고 그 자취가 본받았으며 그 원인이 참되고 그 결과가 어긋나지 않음이니 앞 성인과 뒷 성인이 이와 같이 일어나고 이와 같이 보이고 이와 같이 회복하심이니 그 호연하고 넉넉함이 큰 강의 흐름과 같고 허공의 트임과 같으며 해와 달의 밝음과 같으며 형체와 그림자가 서로 걸림이 없는 것과 같으며 기러기 떼의 질서와 같도다.
묘하게 얻는 것을 근본이라 하고 잘 맞도록 미루어 쓰는 것을 자취라 하며 비롯함이 아닌 것으로 비롯함을 일으키는 것을 인이라 하며 이룸 아닌 것으로 이루는 것을 과라 하며 과가 인과 다르지 않음을 바른 과라 하며 인이 과와 다르지 아니함을 바른 인이라 하며 자취가 반드시 근본을 돌아봄을 큰 용이라 하고 근본이 자취를 반드시 돌아봄을 대승이라 한다. 승이란 성인의 도를 비유한 말이고 용이란 성인의 가르침을 일으킴을 일컫느니라.
夫聖人之道가 莫至乎心이오 聖人之敎가 莫至乎修요 調神入道 莫至乎一相 止觀이오 軌善成德이 莫至乎一行三昧요 資一切戒가 莫至乎無相이오 正一切定이 莫至乎無念이오 通一切智가 莫至乎無住요 生善滅惡이 莫至乎無相戒요 篤道推德이 莫至乎四弘願이오 善觀過과 莫至乎無相懺이오
正所趣가 莫至乎三歸戒요 正大體栽大用이 莫至乎大般若요 發大信務大道가 莫至乎大志요 天下之窮理盡性이 莫至乎黙傳이오 欲心無過가 莫善乎不謗인 定慧爲始는 道之基也요
一行三昧는 德之端也요 無念之宗은 解脫之謂也오 無住之本은 般若之謂也요 無相之體는 法身之謂也요 無相戒는 戒之最也요 四弘願은 願之極也요 無相懺은 懺之至也요 三歸戒는 眞所歸也요 摩訶智慧는 聖凡之大範也요 爲上上根人說은 直說也요 黙傳은 傳之至也요 戒謗은 戒之當也라
夫妙心者는 非修所成也며 非證所明也니 本成也며 本明也라 以迷明者 復明은 所以證也요 以背成者가 復成은 所以修也니 以非修而修之일세 故로 曰正修也요 以非明而明之일새 故로 日正證也라
무릇 성인의 도는 마음보다 더 지극한 것이 없고 성인의 가르침은 닦는 것보다 더 지극한 것이 없고 정신을 길들여서 도에 들어가는 것은 일상지관이 이보다 더 지극한 것이 없고 선을 본받아 덕을 이루는 데는 일행삼매보다 더 지극한 것이 없으며 일체 계를 재산으로 하는데 는 무상보다 더 지극한 것이 없으며 일체의 정을 올바르게 하는데 는 무념보다 더 지극함이 없으며 일체의 지혜를 통하는데 는 머무르지 않음보다 더 지극한 것이 없느니라.
선을 내고 악을 멸하는데 는 무상계보다 더 지극함이 없고 도를 돈독히 하고 덕을 추구하는데 는 사홍서원보다 더 지극함이 없고 허물을 잘 관하는데 는 무상의 참회보다 더 지극한 것이 없고 바로 나아감에는 삼귀계보다 더 지극한 것이 없으며 큰 체를 바르게 하고 큰 작용을 마름질함에 있어서는 큰 반야보다 더 지극함이 없고 큰 믿음을 일으켜 큰 도를 힘쓰는데 는 큰 의지보가 더 지극함이 없으며 천하의 이치를 추구하여 성품을 다 하는데 는 묵묵히 전하는 것보다 더 지극한 것이 없으며 마음에 허물이 없고자 하는데 는 비방하지 않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느니라.
정과 혜로 시작을 삼는 것이 도의 기초이고 일행삼매가 덕의 단서며 무념의 종지가 해탈을 일컬음이며 무주의 근본이 곧 반야이며 무상의 체는 법신이고 무상계가 계의 으뜸이며 사홍서원이 원력의 지극함이고 무상참회가 참회의 지극함이고 삼귀계가 참으로 돌아갈 곳이며 마하지혜가 성인과 범부의 큰 규범이며 상상근의 사람을 위하여 설하심이 바로 설함이요 묵묵히 전함이 전함에 있어 지극함이요 비방을 경계함이 계의 마땅함이니라.
무릇 묘한 마음이란 닦아서 이루는 것이 아니며 깨달아서 밝히는 것이 아니라 본래 이룬 것이며 본래 밝은 것이니라. 본래 밝은 것을 미혹한 자가 다시 밝히는 것을 깨달음이라 하고 이룸을 저버린 자가 다시 이루는 것을 닦는 것이라 하니 닦는 것 아님으로써 닦는 것을 바른 닦음이라 하고 밝히는 것 아닌 것으로 밝힘을 바른 깨달음이라 한다.
至人은 暗然乃見其威儀而成德爲行이 藹如也요 至人은 頹然若無所持而道顯於天下也니 盖以正修而修之也요 以正證而證之也 於此 乃曰罔修罔證이며 罔因罔果라하야 穿鑿叢脞하여 競爲其說하야 繆乎至人之意焉하나니 噫라 放戒定慧而必趨乎混茫之空則吾未如之何也로다 甚乎라 含識이 溺心而浮識하야 識與業이 相乘하야 循諸嚮而未始息也하야 象之形之에 人與物이 偕生하야 紛然乎天地之間하나니 可勝數耶아 得其形於人者가 固萬萬之一耳이요 人而能覺은 幾其鮮矣니 聖人이 懷此하야 雖以多意로 發之 而天下가 猶有所不明者也요 聖人이 救此하야 雖以多方으로 治之 而天下가 猶有所不惺者也라 賢者는 以智亂하고 不肖者는 以愚壅하고 平平之人은 以無記惽하야 乃其感物而發에 喜之怒之하고 哀之樂之하야 益蔽者萬端에 曖然若夜行而不知所至하며 其承於聖人之言則計之搏之하야 若蒙露而望遠하야 謂有也와 謂無也와 謂非有也와 謂非無也와 謂亦有也와 謂亦無也에 以不見而却蔽하야 固終身而不得其審焉하나니 海所以在水也어늘 魚龍死生이 在海而不見乎水하며 道所以在心也어늘 其人이 終日說道而不見乎心하나니 悲夫라 心固微妙幽遠하야 難明難湊가 其如此也矣로다
지극한 이는 가만히 그 위의를 보고서 덕을 이루고 행을 실천함이 무성하며 없는 듯하며 지니는 바가 없지만 도가 천하에 나타나니 바로 닦음으로 닦는 때문이고 바른 깨달음으로 깨달았기 때문인데 닦음도 없고 깨달음도 없으며 인도 없고 과도 없다 하면서 꼬치꼬치 따지고 파헤치며 다투어 그 말을 내세우니 지극한 이의 뜻을 어긋나게 하는구나. 슬프다!
계 · 정 · 혜를 버리고 꼭 혼망한 공에 나아가 빠진다면 나도 어찌할 수 없구나, 심하다. 함식이 마음을 빠뜨리고 식이 들뜸으로 식과 업이 서로 타고 일어나 메아리치듯 쉬지 않는구나. 형상을 드러냄에 사람과 만물이 다투어 생겨서 천지 사이에 소란하니 그 수를 이루 다 헤아릴 수 있겠는가?
인간의 형상을 얻은 자는 억의 하나고 사람으로 깨닫기는 더욱 드무니 성인이 이를 생각하여 비록 많은 뜻을 내셨지만 천하가 오히려 밝지 못함이 있고 성인이 이를 구원하여 많은 방편으로 대치하지만 오히려 깨닫지 못하는 바가 있다. 그러므로 현명하다고 하는 자는 지혜로써 어지럽고 둔한 자는 어리석음으로 막히며 보통 사람은 혼미해서 어둡게 되느니라.
그리하여 사물에 부딪혀 감동을 받고 정서를 일으킴으로써 기뻐하고 노여워하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며 만단으로 더욱 가려지니 마치 어둡고 깜깜한 밤길을 가며 어디로 가는지를 모르는 것과 같구나. 또한 성인의 가르침을 따르는 경우에도 계교를 널리 하여 안개를 무릅쓰고 먼데를 바라보는 것과 같으니 있다거나 없다거나 있는 것도 아니라거나 없는 것도 아니라거나 또한 있기도 하다거나 없기도 하다거나 하는 등의 말의 뜻을 알지 못하고 도리어 이에 가리어져서 몸이 다하도록 살피지 못하는구나.
그것은 마치 바다가 물로 이루어진 것인데 고기와 용이 그 생사가 바다에 매여 있지만 물의 덕을 모르는 것과 같이 도가 마음에 있는 것인데 사람들이 종일토록 도를 말하면서 마음을 보지 못하니 슬프다. 마음이 진실로 미묘하고 그윽하고 멀어서 밝히기 어렵고 나아가기 어려움이 이와 같도다.
聖人이 旣隱에 天下百世에 雖以書傳而莫得其明驗일새 故로 壇經之宗은 擧乃直示其心而天下가 方知卽正乎性命니 若排雲舞而頓見太淸이며 若登泰山而所視가 廓如也라 王氏가 以方乎世書曰齊一變이면 至於魯하고 魯一變이면 至於道라하니 斯言이 近之矣라 涅槃에 曰始從鹿野苑으로 終至跋提河히 中間五十年에 未曾說一字者는 示法非文字也니 防以文字而求其所謂也나 曰依法不依人者는 以法眞而人假也요 曰依義不依語者는 李義實而語假也요 曰依智而不依識者는 以智至而識妄也요 曰依了義經不依不了義經者는 以了義經는 盡理요 而菩薩所謂卽是宣說大涅槃者는 謂自說이 與經同也라 聖人所謂四人이 出世하야 護持正法이 應當證知者를 應當證知라 故로 至人은 推本以正其末也요 自說이 與經同이라 故로 至人說經이 如經也요 依義依了義經이라
성인이 가시면서 천하 백세에 이를 글로써 전하지만 밝은 증험을 할 수 없으므로 이에 단경의 종지가 바로 그 마음을 보이니 천하가 바야흐로 그 성품의 도를 바르게 하므로 구름과 안개가 없는 맑고 밝은 하늘을 보는 것 같으며 태산에 올라 앞이 탁 트이는 것 같구나.
왕씨가 속세의 글로써 〈제나라가 한 번 변하여 노나라에 이르고 노나라가 변하여 도에 이른다.〉했는데 이 말이 가까운 점이 있다. 열반경에 이르시기를 〈처음 녹야원으로부터 마지막 발제하에 이르도록 오십 년 동안 한 글자도 말씀한 것이 없다.〉하심은 법은 문자가 아님을 보이신 것이니 문자로써 구함을 막으신 것이다.
또 〈법을 의지하고 사람을 의지하지 말라.〉하심은 법은 참이고 사람은 거짓이기 때문이고 〈뜻을 의지하고 말을 의지하지 말라.〉하심은 뜻은 사실이지만 말은 거짓인 때문이며 〈지혜에 의지하고 알음알이에 의지하지 말라.〉함은 지혜는 지극하고 알음알이는 허망하기 때문이며 또 〈대승실교인 요의경에 의지하고, 소승교나 구경의 대승교가 아닌 불요의경을 의지하지 말라.〉하신 것은 요의경이 이치가 다하기 때문이며 〈보살이 대열반경을 말씀했다.〉함은 당신의 말씀한 바가 경과 더불어 같음을 뜻한 것이로다.
성인이 네 가지 법을 의지하여 출세함으로 정법을 보호하고 유지하시니 마땅히 깨달아 아실 것을 깨달아 아시느니라. 그러므로 지극한 이는 근본을 미루어 그 끝을 바르게 하시고 스스로 하신 말씀이 경과 같으므로 지극한 이가 경을 말씀하신 것은 경과 더불어 같으며 뜻을 의지하고 요의경을 의지하신 것이다.
故로 至人은 顯說而合義也며 合經也요 依法依智라 故로 至人은 密說호데 變之通之而不苟滯也요 示法非文字라 故로 至人之宗은 尙乎黙傳也니 聖人은 如春하야 陶陶而發之也요 至人은 如秋하야 濯濯而成之也며 聖人은 命之而至人은 效之也라
至人은 固聖人之門之奇니 德殊勳大也라 夫至人者는 始起於微하야 自謂不識世俗文字라가 及其成至也하야는 方一度之說而顯道救世하야 與乎大聖人之云爲者로 若合符契也니 固其玄德上智가 生而知之로대 將自表其法而示其不識乎인져 歿殆四百年에 法流四表而不忘乎正하야 考聖賢者가 更三十世에 求其道而益敬하니 非至乎大聖人之所至면 天且厭之가 久矣리니 烏能若此也리오 予固豈盡其道아 幸蚊虻이 飮海에 亦預其味일새 敢稽首布之하야 以遺後學者也로다
그러므로 지극한 이가 드러내어 말씀하신 것은 뜻에 합하고 경에 맞으니 법에 의지하고 지혜에 의지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지극한 이가 엄밀히 말씀하신 것은 변하고 통하여 구차하게 걸리지 않으며 법이 문자가 아님을 보이신 것이다. 그러므로 지극한 종지는 오히려 묵묵하게 전하신 것이다.
성인은 봄과 같아서 화창하게 일으키시고 지극한 이는 가을과 같아서 견실하게 이루시며 성인이 명하시고 지극한 이가 본받으시는 도다. 지극한 이는 진실로 성인의 문에 기특함이니 덕이 뛰어나고 공이 크심이로다. 지극한 이는 처음에 작은 데서 시작하여 스스로 세속의 문자를 알지 못한다고 하시다가 지극함을 이루고 바야흐로 설법하실 적엔 도를 드러내어 세상을 구하시는데 큰 성인이신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과 꼭 들어맞는 것과 같다. 진실로 그윽한 덕과 높은 지혜는 태어나면서 아신 것이지만 그 법을 표현하기 위해 알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신 것이리라.
돌아가신지 사 백년 가까이 그 법의 흐름이 사방에 널리 흘러 바름을 잊지 아니하였거니와 성현을 찾는 자 삼십 세에 이르지만 그 도를 구하여 더욱 공경했으니 큰 성인이 설하신 바에 이르지 못했다면 하늘이 싫어한지 오래였을 것이니 어찌 능히 이와 같겠는가(우주의 대 진리에 어긋났다면 이렇게 오랫동안 정법으로 존속되겠는가) 또 내가 어찌 진실로 그 도를 다할 수 있겠는가 다행히 모기와 등에가 바닷물을 마시지만 그 맛이 한 가지인 것처럼 감히 머리를 조아려 선포하여 후학에게 남겨주노라.
按明敎大師鐔津文集壇經贊題下註云稱經者自後人尊其法而非六祖之意也今從其舊不敢改易云云
명교대사의 ‘심진문집단경찬’이라는 제목의 註에 경이라 한 것은 뒷사람이 그 법을 존경하여 말한 것이지 육조의 뜻이 아니므로 지금 그대로 따랐을 뿐 감히 고치지 못한다고 운운하였다.
- 六祖壇經 終 18年 12月 02日 慧柱가 타이핑 -
'六祖壇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경의 요약 (0) | 2018.12.08 |
---|---|
육조대사법보단경 발 (0) | 2018.08.01 |
부 록 (0) | 2018.08.01 |
第十 付囑品(제십 부촉품) (0) | 2017.11.26 |
第九 宣詔品(제구 선조품) (0) | 2017.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