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心外無佛性(심외무불성)
- 마음밖에 불성이 따로 없다 -
삼계(三界)가 혼돈하여 일어났으나 모두가 한마음[一心]으로 돌아가나니, 앞 부처와 뒤 부처가 마음으로 마음을 전하사 문자를 세우지 않았느니라.
[학인] 문자를 세우지 않는다면, 무엇으로 마음을 삼습니까?
[달마] 그대가 나에게 묻는 것이 곧 그대의 마음이요,
내가 그대에게 대답하는 것이 곧 나의 마음이니 나에게 만약 마음이 없다면 어찌 그대에게 대답할 수 있으며,
그대에게 만약 마음이 없다면 어찌 나에게 물을 수 있겠느냐.
나에게 묻는 것이 곧 그대의 마음이니 끝없는 옛부터 온갖 동작을 하는 모든 시각과 온갖 장소가 그대의 근본 마음이며 그대의 근본 부처이니,
마음 그대로가 부처 그대로라 함도 이와 마찬가지니라.
이 마음을 제하고는 따로이 부처를 찾을 수 없나니 이 마음을 떠나서 보리(普提)와 열반을 구한다는 것은 옳지 못하니라.
제 성품(自性)은 진실해서 인(因)도 아니고 과(果)도 아니며,
또 법 그대로가 마음이니, 자기의 마음이 보리요,
자기의 마음이 열반이니라.
만일 “마음 밖에 부처와 보리(普提)가 있어 얻을 수 있다”고 한다면 옳지 못하니라. 부처와 보리가 모두 어디에 있는고?
어떤 사람이 손으로 허공을 잡을 수 있겠는가? 허공이란 이름뿐이요 형상도 부피도 없나니, 잡을 수도 버릴 수도 없느니라.
이렇게 허공을 잡을 수 없는 것 같이, 이 마음을 제하고 부처를 찾는다면 끝내 얻지 못하리라.
부처란 자기 마음으로 지어서 얻는 것이거늘 어찌 마음을 떠나 부처를 구 할 수 있으리오. 앞 부처와 뒷 부처가 오직 마음 하나를 말씀하셨으니,
마음이 곧 부처요 부처가 곧 마음이라, 마음 밖에 부처 없고 부처밖에 마음이 없느니라.
마음 밖에 부처가 있다고 할진댄 부처가 어디에 있는가.
마음 밖에 부처가 없다면 어찌 부처라는 소견을 일으키리요,
서로서로 속여서 근본 마음을 알지 못하고 무정물(無情物)에 얽매여서 자유롭지 못하도다.
만일 믿지 못한다면 스스로 속이고 있는지라 이익이 없느니라.
부처는 허물이 없건만 중생이 전도(顚倒)되어 자기의 마음이 곧 부처임을 깨닫지도 알지도 못하느니라.
자기의 마음이 부처인 줄 안다면 마음 밖에서 부처를 찾지 말지어다. 부처가 부처를 제도할 수 없는 것이니,
마음을 가지고 부처를 찾으면 부처를 알지 못하리라. 다만 밖에 있는 부처일 뿐이니,
모두 자기의 마음이 바로 부처임을 모르는 때문이니라.
또 부처를 가지고 부처에게 절하지 말며 마음을 가지고 부처에게 염불하지고 말라.
부처는 경을 읽지도 않으며 계를 지키지도 않으며, 부처는 계를 범하지도 않으며,
부처는 지키는 것도 범하는 것도 없으며, 선과 악을 짓지도 않느니라.
만일 부처를 구하고자 할진댄 반드시 성품을 봄으로써 곧 부처인 것이요,
성품을 보지 못한 채 염불을 하거나 경을 읽거나 재계(齋戒)를 지키거나 계를 지키더라고 아무런 이익이 없느니라.
염불은 왕생의 인과를 얻고 경을 읽으면 총명해지며 계를 지키면 하늘에 태어나고 보시를 하면 복된 과보를 받거니와 부처는 끝내 얻을 수 없느니라.
'일상속의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옹 스님의 토굴가 (0) | 2014.02.16 |
---|---|
무소의 뿔의 경 (0) | 2014.01.11 |
선문 촬요 책 머리글 (0) | 2014.01.02 |
2013년 11월 2일 오전 10:10 (0) | 2013.11.02 |
윤회, 그리고 업에 대하여 (0) | 201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