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 祖 壇 經
六祖法寶壇經 原序
古筠比丘 德異 撰
妙道虛玄하야 不可思議니 忘言得旨하면 端可悟明하리라 故로 世尊이 分座於多子搭前하시고 拈花於靈山會上하시니 似火與火하야 以心人心이라 西傳四七하사 至菩提達磨하야 東來此土하사 直指人心하야 見性性佛케하시니 有可大師者가 首於言下에 悟入하야 末上에 三拜得髓하고 受衣紹祖하사 開闡正宗하시며 三傳而至黃梅會中하야 高僧七百에 惟負舂居士와 一偈傳衣하야 爲六代祖하사 南遯十女年니러시니
一旦에 以非風旛動之機로 觸開印宗正眼하시고 居士가 由是로 祝髮登壇하사 應跋陀羅懸記하사 開東山法門하시니 韋使君이 命海禪者하야 錄其語하고 目之曰法寶壇經이라하다
묘한 도는 비어있고 이치가 심오하여, 생각으로는 헤아리지 못하는 것이니 말을 버리고 뜻을 얻어야 간단하고 명하게 깨달을 수 있으리라.
고로 세존이 다자탑 앞에서 자리를 나누시고 영산회상에서 꽃을 잡으신 것이다. 불로 불을 줌과 같아서 마음으로써 마음을 인가하는 것이다.
서역에서 28번을 전하여 보리달마에 이르자 동으로 이 땅에 오시어 사람의 마음을 바로 가리켜 성품을 보아 부처를 이루게 하셨다.
혜가대사가 처음으로 말씀 아래에 깨닫고 마지막에 삼배하여 그 진수를 얻었으며, 가사를 받아 조사의 대를 이었으며, 바른 법의 종지를 열어 밝히셨고, 세 번 전하여 황매회중에 이르러서는 고승 칠백이 있었지만 오직 부용거사가 한 게송으로 가사를 전해 받고 육대조사가 되었다.
남으로 피신하지 십여 년이 지난 어느 날 <바람과 깃발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라는 기연으로 광주 법성사의 주지였던 인종의 바른 눈을 열어주셨다.
이로 말미암아 거사는 머리를 깎고 법단에 올라 발타라 삼장이 미리 예언하신 바대로 동산법문을 여시니 위 사군이 법해선사로 하여금 그 말씀을 기록하게 하고 그 이름을 법보단경이라 하였다.
大師가 始於五年하야 終至曹溪하사 說法三十七年에 霑甘露味하야 入聖超凡者가 莫記其數요 悟佛心宗하야 行解相應하야 爲大知識者가 名載傳燈하니 惟南嶽 靑原이 執侍最久하사 盡得無巴鼻라
故로 出馬祖石頭하사 機智圓明하야 玄風大振하며 乃有臨濟 潙仰 曹洞 雲門 法眼諸公이 巍然而出하사 道德이 歷群하고 門庭이 險峻하야 啓迪英靈衲子하야 奮志衝關하야 一門深入에 五派同源이라 歷遍爐錘하야 規模가 廣大하니 源其五家綱要컨대 盡出壇經이라
대사가 광주의 오양에서 시작하여 소주의 조계에 이르기까지 설법하신 지 삼십 칠 년 동안 감로의 맛에 젖어 범부를 뛰어나 성인이 된 자가 그 수를 헤아릴 수가 없고, 부처님의 마음 바탕을 깨달아서 수행과 깨달음이 하나가 되어 큰 선지식이 된 자의 이름이 전등록에 실려 있는데, 오직 남악과 청원이 가장 오래 모시었고 무소득의 도리를 남김없이 얻었다.
그리하여 마조와 석두를 배출하였는데 기틀과 지혜가 뚜렷이 밝아서 현풍(조사선의 기풍)을 크게 떨쳤으며, 이에 임제와 위앙과 조동과 운문과 법안같이 높은 이들이 드높게 출현하셨는데 도덕이 뛰어나고 문호가 험준하여 영특하고 신령한 납자(누더기를 입은 스님)들을 가르쳐 인도하니 뜻을 크게 일으켜 관문을 뚫고 한문에 깊이 들었다.
다섯 문파의 근원이 같은지라 두루 겪으며 다듬고 수도하는 규모가 크고 넓지만 그 다섯 문파의 중요한 요점을 근원적으로 찾아보면 모두 가 육조단경에서 나온 것이다.
夫壇經者는 言簡義豊하며 理明事備하야 具足諸佛無量法門하야 一一法門에 具足無量妙義하고 一一妙義에 發揮諸佛無量妙理하시니 卽彌勒樓閣中이며 卽普賢毛孔中이라 善入者는 卽同善財하야 於一念間에 圓滿功德하야 與普賢等하며 與諸佛等하리라
惜乎라 壇經이 爲後人의 節略이 太多하야 不見六祖의 大田之旨일새 德異가 幼年에 嘗見古本하고 自後로 遍求가 三十餘載러니 近得通上人의 尋到全文하야 遂刊于吳中休休禪庵하야 與諸勝士로 同一受用케하노니 惟願開卷擧目에 直入大圓覺海하야 續佛祖慧命無窮이니 斯余志願이 滿矣로가
至元二十七年庚寅歲 中春日에 叙하노라
무릇 단경은 말은 간략하지만 뜻이 풍부하며 이치가 명백하고 사(事)가 갖추어져 있어 모든 부처님의 한량없는 법문을 모두 갖추었고 하나 하나의 법문에 한량없이 묘한 뜻을 두루 갖추었으며, 하나 하나의 묘한 뜻애 모든 부처님의 한량없는 묘한 이치를 훌륭하게 나타내시니 이는 곧 미륵부처님의 누각이고 보현보살의 털구멍이다.
잘 들어가는 자는 선재동자와 같이 일념 사이에 공덕을 원만히 하여 보현과 같으며 모든 부처님들과 같으리라. 애석하도다. 단경을 훗날 사람들이 너무 많이 줄여서 육조의 크고 온전한 뜻을 보지 못하는구나.
덕이가 어린 시절에 일찍이 고분을 본 뒤로 30여 년두루 구했는데 근래에 통스님이 그 전문을 찾아왔기에 드디어 오나라의 휴휴선암에서 발간하여 모든 승사(계를 잘 지키는 이의 존칭)와 함께 수용하게 되었으니 오직 원컨대 책을 열어 한번 보면 바로 대원각해(사람의 본성을 바다에 비유하는 것)에 들어서 불조의 혜명(심인)을 이어 다함이 없기를 바라며 이것을 나의 원과 뜻이 만족하는 것으로 삼겠다.
지원 27년 경인년 중춘일에 쓰다.
'六祖壇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四 定慧品(제사 정혜품) (0) | 2017.11.26 |
---|---|
第三 疑問品(제삼 의문품) (0) | 2017.11.26 |
第二 般若品(제이 반야품) (0) | 2017.11.26 |
第一 行由品(제일 행유품) (0) | 2017.11.26 |
六祖大師法寶壇經 略序 (0) | 2017.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