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 좋은 음식 먹이고 사랑하여 길러도 좋은 음식 먹이고 사랑하여 길러도 이 몸은 반드시 허물어질 것이며, 비단옷으로 보호해도 목숨은 반드시 끝날 때가 있다. 어리석은 사람은 이익을 탐하고 부질없는 존경이나 이름을 구하며 조직 안에서는 권력을 다투고 남의 집에 가서는 돈과 먹을 것을 바란다. 愚 人 貪 利 養(우인탐..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혈맥론 2013.11.02
2.11, 어리석은 사람은 온갖 잔머리를 굴려도 칼과 몽둥이를 불러들인다. 어리석은 사람은 온갖 잔머리를 굴려도 칼과 몽둥이를 불러들인다. 어리석은 사람은 온갖 잔머리를 굴려도 끝내 아무런 이익을 얻지 못하고 하는 짓마다 칼이나 몽둥이를 불러들여 그 갚음으로 반드시 해를 입니다. 優 生 念 慮(우생염려) 至 終 無 利(지종무리) 自 招 刀 杖(자초도장) 報 ..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혈맥론 2013.11.02
2.10, 행복이 언젠가 소멸될 것을 알아 행복이 언젠가 소멸될 것을 알아 더 많은 복을 지어라. 새로 짠 우유가 상하지 않듯 재에 덮인 불씨가 그대로 있듯 지어진 업은 당장에는 안 보이나 그늘에 있어도 언제나 그를 따른다. 惡 不 卽 時(악불즉시) 如 穀 牛 乳(여곡우유) 罪 在 陰 伺(죄재음사) 如 灰 覆 火(여회복화) 물 속에는 /..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혈맥론 2013.11.02
2,9. 죄는 은밀한 기쁨으로부터 시작된다 죄는 은밀한 기쁨으로부터 시작된다. 죄를 지어도 죄의 업이 익기 전에는 어리석은 사람은 그것을 꿀 같이 여기다가 죄가 한창 무르익은 후에야 비로소 큰 재앙을 받는다. 過 罪 未 熟(과죄미숙) 愚 以 怡 淡(우이이담) 至 其 熟 時(지기숙시) 自 受 大 罪(자수대죄) 나쁜 행위가 아직 무르..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혈맥론 2013.11.02
2.8, ‘고맙다’는 한마디가 공덕 쌓기이다 ‘고맙다’는 한마디가 공덕 쌓기이다. 공덕의 선한 행을 스스로 행하면 나아가 기뻐하고 즐거워하면서 저절로 다가오는 복을 누리나니 그 갚음은 어디서 온 것인가. 行 爲 德 善(행위덕선) 進 覩 歡 喜(진도환희) 應 來 受 福(응래수복) 喜 笑 悅 習(희소열습) 공덕 쌓는 일, 선행은 거창한..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혈맥론 2013.11.02
2.7, 입은 사람을 상하게 하는 도끼, 입은 사람을 상하게 하는 도끼, 말은 혀를 베는 칼이다. 나쁜 일은 서슴없이 저지르고는 죄 갚음을 받고 물러나 뉘우치며 안타까워 후회하며 슬펴하나니 그 갚음은 어디서 온 것인가. 行 爲 不 善(행위불선) 退 見 悔 悋(퇴견회린) 致 涕 流 面(치체류면) 報 由 熟 習(보유숙습) 사람이 ..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혈맥론 2013.11.02
2.6, 내게 필요하지만, 남겨둘 줄 아는 사람이 되어라 내게 필요하지만, 남겨둘 줄 아는 사람이 되어라. 어리석고 지혜 없는 사람은 자신에 대해서 원수처럼 행동한다. 욕심을 따라 악한 업을 지어 스스로 고통의 결과를 얻는다. 愚 人 施 行(우인시행) 爲 身 招 患(위신초환) 快 心 作 惡(쾌심작악) 自 致 重 殃(자치중앙) 늦가을, 감나무 가지 ..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혈맥론 2013.11.02
2.5, 지식과 정보는 넘치는데, 지혜는 어디에? 지식과 정보는 넘치는데, 지혜는 어디에? 지혜로운 사람은 잠깐이라도 어진 사람을 가까이 섬기면 참다운 법을 바로 안다. 혀가 국 맛을 아는 것처럼 智 者 須 臾 間(지자수유간) 承 事 賢 聖 人(승사현성인) 一 一 知 眞 法(일일지진법) 如 舌 了 衆 味(여설료중미) 임진왜란의 영웅, 불멸의..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혈맥론 2013.11.02
2.4, 작은 것을 탐하면 큰 것을 잃는 법 작은 것을 탐하면 큰 것을 잃는 법. 어리석은 사람은 한평생 다하도록 지혜로운 이와 오랫동안 친하고 가까이 해도 참다운 진리를 알지 못한다. 마치 국자가 국 맛을 모르는 것처럼. 愚 人 盡 形 壽(우인진형수) 承 事 明 知 人(승사명지인) 亦 不 知 眞 法(역부지진법) 如 杓 斟 酌 食(여표..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혈맥론 2013.11.02
2.3, 자식, 재물은 나를 위한 도구가 아니라 자식, 재물은 나를 위한 도구가 아니라 세상을 위한 도구이다. ‘내 자식이다, 내 재산이다.’하며 어리석은 사람은 괴로워한다. 내 몸 또한 내 것이 아니거늘 어찌 자식과 재물을 근심하는가. 有子有財(유자유재) 愚惟汲汲(우유급급) 我且非我(아차비아) 何憂子財(하우자재) ‘가지 많은 ..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혈맥론 201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