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경의 요약 壇經 의 要約 중국 唐代 초기 在世하였던 중국 禪宗 제6대 慧能祖師(638 ~ 713)의 語錄인데 그의 高弟 法海스님이 集錄한 것. 문자학식이 없는 혜능선사가 五祖 弘忍祖師의 啓發에 힘입어 到達한 自覺 体證의 如來心地 경계를 露呈한 것. 行由品 大梵寺 강당에서 一千 道俗을 위하여 說한 것.. 六祖壇經 2018.12.08
복 닦기와 도 닦기 도道 닦기와 복福 닦기 사람들은 누구나 행복하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행복해지고 싶으나 방법에 대하여서는 어떻게 해야 행복해지는 지는 잘 모릅니다. 방법은 두 가지, 도 닦기와 복 닦기입니다. 도 닦기와 복 닦기를 하지 않으면서 행복해진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일시적인 행복감.. 일상속의 대화 2018.11.11
공의 사상 공空의 사상思想 공空의 의의意義 (1), 어원적 의미 1), 공空은 산스크리트어로 「쑤냐타Sūnyatā」이다. 쑤냐타는 “없는, 공허한”의 뜻인 어간 “쑤냐Sūnya”와 여기에 성질을 나타내는 분사형 어미 “타taā”가 결합된 것이다. 그래서 쑤냐타는 공空이라 번역되고 있다. 어원대로 번역.. 일상속의 대화 2018.09.16
육조대사법보단경 찬 六曹大師法寶壇經 贊 宋 明敎大師 契 嵩 撰 贊者는 告也니 發經而溥告也라 壇經者는 至人之所以宣其心也니 何心耶아 佛所傳之妙心也라 大哉라 心乎여 資始變化而淸淨常若하야 凡然聖然하며 幽然顯然하야 無所處而不自得之하나니 聖言乎明이오 凡言乎昧니 昧也者는 變也요 明也者는 .. 六祖壇經 2018.08.26
2018년 8월 5일 일요일 아침 2018년 08월 5일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 찜통 속의 일요일 아침에 주절거림. 지금의 이 나의 모습은 어제 나 자신 스스로가 만든 것입니다. 누가 대신 나의 살림살이를 만들어 주지는 않았다는 말씀입니다. 이는 한 치의 오차 없이 행(行)한 바 그대로 나타났다는 것이지요. 해서 세상살이가 .. 일상속의 대화 2018.08.05
육조대사법보단경 발 六曹大師法寶壇經 跋 泰和七年十二月日에 社內道人湛黙이 持一卷文하야 到室中曰近得法寶記壇經이라 將重刻之하야 以廣其傳호리니 師其跋之하소서하야늘 予가 欣然對曰此予平生에 宗承修學之龜鑑也어늘 子其彫印流行하야 以壽後世하니 甚愜老僧意로다 然이나 此有一段疑焉하니 南.. 六祖壇經 2018.08.01
부 록 附 錄 師入塔後로 至開元十年壬戌八月三日夜半에 忽聞塔中에 如拽鐵索聲하고 僧衆이 驚起하야 見하니 一孝子가 從塔中走出이어늘 尋見하니 師頸이 有傷이라 具以賊事로 聞于州縣한대 縣令楊侃과 刺史柳無忝이 得牒하여 切加擒捉五日이러니 於石角村에 捕得賊人하야 送韶州하야 鞫問.. 六祖壇經 2018.08.01
도 닦기와 복 닦기 월호 스님이 전하는 행복론 인간은 누구나 행복하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정작 행복해 지려면 어떻게 하느냐하는 물음에는 대답하기가 그리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여기 월호 스님이 행복하게 사는 길을 제시하시니 우리~~, 같이 그 말의 뜻이 어디에 있는지 함께 알아봅시다. 행복해지려.. 일상속의 대화 2018.06.06
인과(因果)를 부정해서는 안 됩니다. 장묘(葬墓) / 서암 스님 젊은 시절 여백우 거사와의 일이다. 여백우 거사는 정진도 열심히 한 분이었지만 약이나 풍수에도 밝았던 분이었다. 하루는 원적사에 와서 스님께 묘(墓)자리에 대해 장황한 주장을 하였다. 한참을 듣고 계시던 스님이 거사에게 물었다. “왜 묘자리가 그리 중요한.. 일상속의 대화 2018.05.29
수행 잘 하는 법 / 경허 스님 공부하는 사람은 마음 움직이지 않기를 산과 같이 하고 마음 넓게 쓰기를 허공과 같이 하고 지혜로 불법 생각하기를 해와 달 같이 하며 남이 나를 옳다고 하든지 그르다고 하든지 마음에 끄달리지 말고 다른 사람의 잘하고 잘못하는 것을 내 마음으로 분별하여 참견말고 좋은 일을 당하.. 일상속의 대화 2018.05.18